추천강의

개혁주의 설교...

강사 : 정성구

21세기를 위...

강사 : 김만형

인기강의

설교 전달법

강사 : 김기홍

설교 작성법

강사 : 김기홍

강의전체목록 더보기

  • 설교특강

    강사 : 김기홍   수강 기간 : 3개월    수강료 : 0 원    샘플보기

    설교특강

  • 효과적인 교회 행정

    강사 : 이성희   수강 기간 : 3개월    수강료 : 0 원    샘플보기

    교회 행정은 사람이 많을 때 지도자의 업무가 과중하게 되어 그 우선순위가 바뀌게 될 때, 중간 사람들을 세워 지도자의 업무를 분담하게 하는 것이다. 교회 행정은 교회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교회 행정에 있어 사람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교회 행정을 돕는 중간 사람의 자격은 영성과 도덕성이 기준이 된다.
    (목사월드 ACTS 공동저작권)

  • 초문화와 가정사역

    강사 : 양은순   수강 기간 : 3개월    수강료 : 0 원    샘플보기

    나는 이 사람과 다르다는 인식과 함께 다른 것은 틀린 것이 아니다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내 옆에 있는 사람이 나와 다를 뿐 아니라 어떤 면에서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
    문화, 언어, 가치관이 다른 개별문화를 가장 잘 훈련할 수 있는 곳은 바로 가정이다.
    (목사월드 ACTS 공동저작권)

  • 기독교 상담학 개론

    강사 : 김준수   수강 기간 : 3개월    수강료 : 0 원    샘플보기

    상담의 기준이 성경에서부터 비롯된 상담으로 복음의 능력을 신뢰하고 하나님과 성령의 실체를 신뢰하고 영적능력을 확신하는 상담이다.
    하나님께서 모든 만물을 창조하셨다는 사실과 성경이 현실을 해석하는 가장 분명한 통로이며, 성경의 문맥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를 이해함으로 인해 하나님의 포괄적인 계시의 지혜를 이해하고 그 원리를 끄집어 내어 상담에 적용해야 한다.
    (목사월드 ACTS 공동저작권)

  • 성격심리와 기독교 상담

    강사 : 한재희   수강 기간 : 3개월    수강료 : 0 원    샘플보기

    성격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하고 독특한 성질이다. 개인의 독특성에 비해 시간에 대한 안정성을 포함하고 있다. 개인의 기질과 품성을 의미한다. 성격은 선천적인 그릇(성질)에 담긴 후천적 내용물(성품)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성격은 한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나타나는 독특하고 일관성있는 지정의 양식이다.
    (목사월드 ACTS 공동저작권)

  • 설교 전달법

    강사 : 김기홍   수강 기간 : 3개월    수강료 : 0 원    샘플보기

    본 강의는 설교를 어떻게 전달 할 것인가에 대한 강의 입니다.

    많은 분들이 설교의 내용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말을 통해 전달되는 것은 7%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음성을 통해 38% 나머지 55%는 분위기나 제스처에 따라서 전달이 됩니다.
    93%을 지배하는 전달법 강의를 꼭 들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계속적인 연습과 반복을 하시면 큰 힘이 되실 것입니다.

  • 창세기의 바른 이해

    강사 : 손석태   수강 기간 : 3개월    수강료 : 0 원    샘플보기

    성경 해석에서 구약학의 정확한 이해는 필수적입니다. 손석태 교수님과 함께 깊은 구약신학의 세계로 안내합니다.

  • 알파의 원리

    강사 : 류영모   수강 기간 : 3개월    수강료 : 0 원    샘플보기

    .(목사월드 ACTS 공동저작권)

  • 21세기를 위한 교회교육 전략

    강사 : 김만형   수강 기간 : 3개월    수강료 : 0 원    샘플보기

    21세기를 위한 교회교육 전략

  • 기독교적 용서와 치유

    강사 : 안경승   수강 기간 : 3개월    수강료 : 0 원    샘플보기

    롬4:5 용서와 화목의 교리의 핵심은 의가 만족되었거나 적의가 해소되었거나 보상이 정당하게 이루어진데 그 근거를 두지 않음을 볼 수 있다. 화목이 먼저 구현됨으로 불의가 의롭게 되고 상대와의 반목이 극복되어진다. 의의 회복으로 화목이 실천되는 것이 아니고 화목의 실천으로 의가 열매를 맺게 되는 것이다.
    (목사월드 ACTS 공동저작권)